안녕하세요 건강정보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간건강에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진 밀크씨슬의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그리고 '밀크씨슬'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밀크씨슬 개요
밀크씨슬은 데이지와 같은 식물군에 속해 있는 허브로, 보라색 꽃을 피웁니다. 그리스를 포함한 유럽의 지중해 지역,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등이 원산지이나. 현재는 세계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밀크씨슬 영양제는 바로 이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농축된 다량의 실리마린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밀크씨슬 효능
1. 간 건강에 도움
밀크씨슬의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지 효능 중 하나는 바로 간 건강 도움을 준다는 것입니다. 밀크씨슬의 활성 성분인 실리마린은 활성 산소의 생성을 줄여 항산화제 역할을 하며, 이것이 간 해독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밀크씨슬 보충제를 섭취한 간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간 기능이 개선되어 간 염증과 간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피부 건강에 도움
밀크씨슬은 건강한 피부를 가꾸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항산화 효과로 인해 피부 세포의 노화를 막고, 여드름 피부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3. 노화와 관련된 뇌 기능 저하 예방
밀크씨슬은 2천년 이상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병과 가은 신경계 질환에 대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시험관 및 동물 연구에서 밀크씨슬에 포함된 실리마린은 뇌 세포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정신 쇠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현재 인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므로, 인간에게도 적용이 될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위에 나열된 효능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능으로, 과학적 증거 등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치료 목적의 복용이라면 의사 약사와 상의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밀크씨슬 부작용
밀크씨슬 추출물은 적당량 섭취시 대부분의 경우 안전하지만, 때때로 완하제 효과를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또한 흔하지는 않은 부작용으로 메스꺼움, 설사, 소화 불량, 복부 팽만, 포만감, 식욕 감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밀크씨슬 복용시 주의사항
1. 임신부
임신부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이 보충제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국화 등의 식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밀크씨슬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러한 식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복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국화과/복합 식물과에 속한 구성원으로는 돼지풀, 국화, 금잔화, 데이지 등이 있는데, 이러한 식물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밀크씨슬을 복용하기 전 의료진과 상의하셔야 합니다.
3. 당뇨병 환자
밀크씨슬의 혈당 강하 효과는 당뇨병 환자를 저혈당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내막증, 자궁 근종 환자
밀크씨슬 추출물은 신체에서 에스트로겐처럼 작용할 수 있어, 에스트로겐에 노출되어 악화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밀크씨슬과 병용금지 성분
밀크씨슬은 간이 일부 약물을 분해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에서 분해되는 일부 약물과 함께 복용할 경우 그 약물의 효과를 낮추거나 지나치게 강하게 하여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품을 복용하신다면 밀크씨슬 복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셔야 합니다. 간에서 분해되어 밀크씨슬과 상호작용하는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아미트리프틸린, 다이아제팜, 질류톤, 셀레콕시브, 디클로페낙, 플루바스타틴, 글리피자이드, 이부프로펜, 이르베사르탄, 로사르탄, 페니토인, 피록시캄, 타목시펜, 톨부타마이드, 토르세마이드, 와파린, 이미프라민, 아미트립틸린, 할로페리돌, 리스페리돈, 클로르프로마진, 프로프라놀롤, 메토프롤롤, 카베딜롤, 로바스타틴,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펙소페나딘, 트리아졸람, 옥사제팜, 할로페리돌, 라모트리진, 모르핀, 지도부딘 등이 있습니다.
밀크씨슬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인 실리마린은 혈당 수치를 낮출 수 있으므로 당뇨병 약과 밀크씨슬을 함께 복용하게 되면 혈당이 너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밀크씨슬 복용 전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셔야 합니다. 당뇨병약의 종류로는 인슐린, 글리메피라이드, 글리부라이드, 메트포르민,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밀크씨슬은 랄록시펜(골다공증약), 시롤리무스(면역억제제), 타목시펜, 에스트로겐 성분, 인디나비르, 콜레스테롤 저하 약물(스타틴) 등과 상호작용하므로 이러한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밀크씨슬 복용 전 의료진과 상의하셔야 합니다.
밀크씨슬 이름 유래 - 마리아의 젖?
밀크씨슬은 서양에서 밀크씨슬(Milk Thistle) 외에도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는 밀크씨슬 이름의 유래와 관련이 있습니다. 밀크씨슬의 잎을 꺾을 때에 하얀 유액이 나오는데 전설에 따르면 이것이 성모 마리아의 젖이 나뭇잎에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밀크씨슬은 Blessed Milk Thistle(축복의 젖 엉겅퀴), Holy Thistle(성스러운 엉겅퀴), Lady's Thistle(동정녀 엉겅퀴), Marian Thistle(마리아 엉겅퀴), St. Mary Thistle(성모 마리아 엉겅퀴)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고 합니다.
오늘은 간 영양제로 널리 알려진 밀크씨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밀크씨슬의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등을 잘 기억하셔서 소중한 건강 잘 지키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기닌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1.09.28 |
---|---|
초록입홍합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1.09.27 |
나토키나제 혈전 용해 효과,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1.09.25 |
폴리코사놀(Policosanol)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1.09.24 |
호로파(페뉴그릭)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1.07.04 |